국세청이 왜 특정 거래를 유심히 볼까?
국세청은 세금 탈루 및 회피 가능성이 높은 거래 유형을 선별하여 정밀 분석합니다.
2025년 기준, 디지털 전환과 빅데이터 기반 시스템을 통해 현금흐름, 거래 유의성, 비정상 거래 패턴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국세청이 집중적으로 들여다보는 대표적인 거래 7가지를 알려드릴게요.
국세청이 눈여겨보는 거래 유형 7가지
1. 고가 아파트 매입 후 임대소득 미신고
부동산 실거래가 자동 연계 시스템을 통해 고가 아파트 구매 후 임대사업 등록 없이 임대수익을 은닉한 사례를 중점 점검합니다.
- 보유한 임대주택에서 발생한 수입을 종합소득세 신고 누락 시 적발 가능성 높음
- 전월세 신고제, 확정일자 정보와 연계 분석
👉 실제 적발 사례: 고가 아파트 3채 보유 후 임대료 현금 수령 → 미신고
2. 가상자산(코인) 매매소득 미신고
국세청은 업비트, 빗썸 등 주요 거래소와 연계해
1년에 한 번 이상 거래내역 및 출금내역을 수집합니다.
- 연 2,500만 원 초과 수익 발생 시 소득세 신고 의무
- 외국거래소(바이낸스 등)도 추적 기술 고도화됨
👉 최근엔 NFT, 디파이(DeFi) 관련 수익도 추적 대상
3. 유튜브·인플루언서 수입 누락
콘텐츠 크리에이터, 블로거, 인스타 셀러 등 SNS 기반 수입자들이
구글 애드센스 수익, 협찬·광고비, 제휴마케팅 수익을 신고하지 않을 경우
해외 결제내역 및 정산금 분석을 통해 소득세 누락 여부를 확인합니다.
- 특히 신한·국민·카카오뱅크 등 정산계좌 연계 정보로 들여다봄
- 단 1건의 송금 기록으로도 세무조사 시작될 수 있음
4. 가족 간 고액 금융이체
부모와 자녀 간, 형제간 고액의 계좌이체 또는 부동산 증여 시
사전 신고 없이 송금했다면, 증여세 과세 대상으로 적발될 수 있습니다.
- 연간 1천만 원 넘는 송금은 증빙 필요
- 자녀 명의 주식계좌에 수억 원 이체 → 고발 사례 존재
5. 현금 영수증 발급 거부 or 이중장부
특히 자영업자는 고객 요청에도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거나,
POS(판매기록시스템) 외부 장부를 따로 운용하는 경우 세무조사 대상이 됩니다.
- 음식점, 학원, 병원 등 고소득 자영업자 주 타깃
- 현금결제율이 높은 업종 주로 감시
6. 법인카드 사적 사용
법인사업자가 법인카드로 개인 식사, 여행, 명품 구매 등 사적 용도로 사용하면
해당 금액은 대표자 상여로 간주되어 소득세 및 법인세 추징 대상이 됩니다.
- 고액 가전, 항공권, 골프장 사용내역도 분석
- 가족 동반 지출의 경우 사유 명확히 해야 함
7. 차명계좌를 통한 사업 수익 은닉
차명계좌로 들어온 수익은 더 이상 숨길 수 없습니다.
국세청은 금융정보분석원(FIU), 국세정보공유시스템 등을 통해
비정상 계좌 흐름을 AI로 추적합니다.
- 특히 가족 명의, 타인 명의 계좌로 사업수익을 우회 수령한 경우 정밀 조사
- 실거래 명세서, 거래 일자, 입금 주체까지 분석
국세청이 말하는 "절대 피해야 할 3가지"
- 소득 누락
- 지출과 수입이 불일치한 소비 패턴
- 세무 신고 전 '위장 거래' 정리 시도
관련 정보 더 보기 & 유용한 팁
- 국세청 공식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
- https://www.nts.go.kr/nts/cm/cntnts/cntntsView.do?mi=2434&cntntsId=8525
- 세금 미신고로 인한 추징액 + 가산세는 최대 60%까지 부과될 수 있음
- 홈택스에서 본인의 현금영수증, 신용카드 내역, 소득 신고 현황 확인 가능
💬 “가상자산 수익, 신고해야 할까요?”